경제용어사전

헤저

[hedger]

의사결정 시점과 그 결정이 실현되는 시점 사이에 발생하는 가격변화에 의한 위험(가격위험)에의 노출을 억제 혹은 관리하기 위하여 선물이나 옵션시장에 참여하는 선물거래자. 헤저의 목적은 생산이나 소비, 자금조달 및 다른 의사결정에서 발생하는 금전상 결과의 변동 정도를 최소화하거나 최소한 이를 관리하고자 함이다. 가격위험에의 노출을 축소시킴으로써 헤저는 생산, 소비 및 금융비용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그 결과 자원이 배분되고 이용되는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고전적 의미에서의 헤저는 상품의 생산자나 소비자가 현재나 미래에 예상되는 실물에서의 포지션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선물, 옵션에서 포지션을 취하는 것을 의미하며 헤저의 유일한 동기는 실물 포지션과 관련된 가격위험을 축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거래목적상 헤지와 투기를 같이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런 혼합형 거래의 대부분은 불완전한 형태의 헤지이다. 즉, 현물 포지션의 일부에 대해서는 헤지를 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투기를 하는 것이다.

  • 허니문 랠리[honeymoon rally]

    정권이 바뀌고 새정부가 출범하면서 정치 및 경제, 사회 전반의 불확실성이 사라지고, 사회안...

  • 홈 뱅킹[home banking]

    은행에 직접 가지 않고 집에 있는 단말장치를 조작하여 잔고조회나 자금이체, 대출 등의 종합...

  • 호스트 컴퓨터[host computer]

    주 컴퓨터 또는 전체 컴퓨터를 제어하며 데이터의 흐름을 규제하는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있는 ...

  • 휴먼뉴딜

    중산층 탈락방지, 중산층으로의 진입 촉진, 미래 중산층 육성을 3대과제로 한 이명박정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