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브로커즈 론

[broker's loan]

미국에서 발달되어 온 증권거래 금융제도를 말한다. 고객이 증권업자에게 자금대출을 신청하는 경우 증권업자는 자기자금으로 고객의 대출에 응하게 되지만 자기자금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부족되는 자금을 은행이나 그 밖의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할 수 밖에 없다. 이때에 증권업자가 고객에게 증권 매매자금을 지원해줄 목적으로 은행 등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관계를 브로커스 론이라 한다.

브로커스 론은 성질상 단기이고 담보물은 증권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 등 유가증권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콜론 형식으로 대부하는 방법과 30일, 60일, 90일 기간으로 하는 타임론 형식 등 두가지 방법이 있다. 이에 대해 증권업자가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으로부터 증권의 매매 차입하는 것은 같지만 고객의 증권거래자금 지원이 아니라 자신의 증권거래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딜러스 론(dealer''s loan)이라고 한다.

  • 벤더[vendor]

    굳이 우리말로 표현하면 ‘물류를 판매하는 도매업’이다. 여러 메이커들로부터 상품을 대량 구...

  • 부채성충당금[allowances of liability nature]

    부채성충당금은 1년 이후에 사용되는 충당금으로서 당기수익에 대응하는 비용으로 장래에 지출될...

  • 변동이자부 모기지[adjustable rate mortgage, ARM]

    이자율이 고정되지 않고 대부 기간동안 변화하는 담보로 변동 또는 융통성 담보라 불리기도 한...

  • 불 마켓[bull market]

    증시에서 ‘황소(bull)’는 주식을 사는 쪽 혹은 상승장을 의미한다. 불 마켓(bu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