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적자본의 수확

 

일반적으로 토지, 노동, 자본과 같은 생산요소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즉,생산요소를 증가 투입시키면 한계생산물이 증가하다가 일정 단계에 이르면 한계생산물이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지적자본은 오히려「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기업의 종업원이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얻은 지식이나 노하우는 그것을 쓸수록 더 발전하고 새로운 노하우를 발견하는 토대가 된다. 왜냐하면 지적자본은 제한된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의 지식과 경험 등에 의해 무한히 새로 개발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 성원들과의 지식공유 등을 통해서 시너지 효과가 발생, 새로운 지식이나 노하우 등이 창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적자본의 개발, 통제는 정보화시대에 더 높은 생산을 위한 중요한 요소다.

  • 지속가능채권[sustainability bond]

    친환경적 또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업부문에 사용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특수...

  • 제1종의 과오

    업무 프로세스상 발생한 실수 중에는 무시해도 좋을 일이 있는데, 이를 없애느라 제대로 된 ...

  • 전세사기 특별법

    전세 사기 피해 지원을 위한 특별법으로 2023년 5월 25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같은 ...

  • 제로잉[zeroing]

    미국이 사용하는 덤핑계산 방식. 덤핑 마진을 계산할 때 수출가격이 내수가격보다 낮을 때(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