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적자본의 수확

 

일반적으로 토지, 노동, 자본과 같은 생산요소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즉,생산요소를 증가 투입시키면 한계생산물이 증가하다가 일정 단계에 이르면 한계생산물이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지적자본은 오히려「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기업의 종업원이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얻은 지식이나 노하우는 그것을 쓸수록 더 발전하고 새로운 노하우를 발견하는 토대가 된다. 왜냐하면 지적자본은 제한된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의 지식과 경험 등에 의해 무한히 새로 개발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 성원들과의 지식공유 등을 통해서 시너지 효과가 발생, 새로운 지식이나 노하우 등이 창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적자본의 개발, 통제는 정보화시대에 더 높은 생산을 위한 중요한 요소다.

  • 저체온치료[therapeutic hypothermia]

    심장기능이 일시 정지된 환자의 체온을 인위적으로 내려 신진대사 및 산소 소비량을 감소시킴으...

  • 주인-대리인 문제[principal-agent problem]

    계약관계에서 권한을 위임하는 사람을 주인(principal)이라고 하며 권한을 위임받는 사...

  • 자산효과[asset effect]

    주식 등 자산의 가치가 증대되는 경우 그 영향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를 말한다. 집이나 ...

  • 재간접 공모펀드

    여러 개의 헤지펀드를 하나의 공모펀드로 묶어 소액 투자자도 가입할 수 있게 한 상품.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