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적자본의 수확

 

일반적으로 토지, 노동, 자본과 같은 생산요소는 「수확체감의 법칙」이 적용된다. 즉,생산요소를 증가 투입시키면 한계생산물이 증가하다가 일정 단계에 이르면 한계생산물이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지적자본은 오히려「수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기업의 종업원이 업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얻은 지식이나 노하우는 그것을 쓸수록 더 발전하고 새로운 노하우를 발견하는 토대가 된다. 왜냐하면 지적자본은 제한된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의 지식과 경험 등에 의해 무한히 새로 개발되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 성원들과의 지식공유 등을 통해서 시너지 효과가 발생, 새로운 지식이나 노하우 등이 창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적자본의 개발, 통제는 정보화시대에 더 높은 생산을 위한 중요한 요소다.

  • 주머[Zoomer]

    19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Z세대 구성원을 말한다. 주머는 Y세대로도 ...

  • 전자정보교환제도[Truncation]

    은행창구에서 수납하고 있는 어음·수표, 공과금 및 지로장표의 실물을 교환회부하는 대신 수납...

  • 주택공시가격

    건설교통부가 단독주택과 다가구주택, 50평미만의 연립주택에 적용하는 과세기준을 말한다. 아...

  • 자동차 탄소포인트제

    승용 및 승합차 운전자가 주행거리를 줄이거나 친환경 운전을 실천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