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의 경제
[economies of scale]기업이 생산량을 늘림에 따라 제품 하나를 만드는 단위당 비용이 하락해 기업 이익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에는 대량 생산의 이익, 시장 참여자수 증가에 따른 이익, 대규모 경영에 따른 관리비 절감의 이익 등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의미로 쓰인다.
규모의 경제와 비슷해 보이지만 차이가 큰 개념은 ‘범위의 경제(economy of scope)’다. 범위의 경제는 여러 종류의 제품을 함께 생산할 때 발생하는 총비용이 각 제품을 별도 기업이 생산할 때 총비용보다 줄어드는 것을 말한다. 은행들은 과거 예·적금과 대출 상품만 팔았지만 이제는 펀드, 보험 상품까지 취급한다. 결론적으로 규모의 경제는 ‘대형화’, 범위의 경제는 ‘다양화’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관련어
- 동의어범위의 경제
-
개인가처분소득대비 금융부채 비율
가계가 지출할 수 있는 소득으로 금융부채를 갚는 능력을 나타내는 비율. 이 비율이 상승했다...
-
간선급행버스[bus rapid transit, BRT]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 간선도로에 급행버스를 운행하는 대중교통시스템을 말한다. 버스 운행...
-
국제입찰[an international tender]
응찰자의 국적에 제한을 두지 않는 입찰이다. 내국인에게 혜택을 주거나 유리한 조건을 따로 ...
-
경기순환[business cycle]
경기가 확장(expansion)→후퇴(recession)→수축(contraction)→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