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계약심사기준
국내 기업은 선진 기술을 보유한 외국기업의 특허권 등 지적재산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지적재산권의 사용 계약내용이 국내기업에 불리하게 돼 있거나 부당한 경우도 발생한다. 이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적재산권 사용계약에 대한 불공정 여부를 심사한다. 이 기준이 국제계약심사기준이다.
국제계약심사기준은 1990년 7월 5일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32조 2항 규정에 의해 고시됐다. 불공정한 국제계약 규제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기술도입자가 수출을 하려면 기술제공자의 사전승인을 받게 한다든지, 국내 특정 지역에 대한 제품의 판매를 금지하는 경우 등이 불공정한 국제계약의 대표적인 사례다.
-
공동입찰
법원경매에 부쳐지는 하나의 부동산에 관해 다수의 입찰자들이 공동으로 자금을 출자하여 낙찰받...
-
구명벌[life raft]
천막처럼 펴지는 둥근 형태의 구명보트. 비상 탈출 기구를 활용하면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
국제의료
외국인환자 유치와 의료사업 해외진출 등 국내외 외국인환자를 대상으로 한 보건의료서비스와 관...
-
금융투자 활성화를 위한 금융세제 개선안 (2020년)
기획재정부가 금융투자 활성화를 위해 2020년 7월22일 '세법개정안'을 통해 발표한 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