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민계정체계

[a system of national account, SNA]

국민경제의 순환과 변동을 체계적으로 기록한 사회회계로서 경제활동을 거래형태별, 거래에 참가하는 경제주체별로 파악하여 복식부기방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즉, 국민경제의 순환에 따른 변동을 각각의 거래형태와 거래주체간의 상호 연관하에서 체계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국민경제체계는 기존의 산업연관표, 국민소득통계, 자금순환표, 국제수지표 등 별개로 파악하고 있던 각종 국민계정 관련 통계를 통합, 각종 경제분석에 적합하도록 거래형태 및 거래주체를 경제활동에 있어서 동질성에 따라 몇 가지 부문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작성한 것이다.

따라서 국민계정체계는 국민경제의 순환에 따른 변동을 실물거래와 금융거래의 활동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으며 파악된 경제활동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작성하고 있다. 국민경제의 변동에 의한 재화와 용역의 공급과 처분내역은 생산·소비지출·자본형성계정에, 소득의 분배와 처분내역은 소득지출계정에, 자본의 조달과 축적내역은 자본조달과 축적계정에, 그리고 해외와의 거래내역은 대외거래계정에 각각 기록한다.

유엔은 일정 기간마다 새로운 SNA를 발표하고 이 지침에 따라 국민계정 통계를 바꾸라고 권고하고 있다. 현재 한국은행은 1993 SNA 기준을 따르고 있다.

  • 군 가산점제도

    제대군인을 대상으로 군 복무기간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해주기 위해 취업시 과목별로 시험 득...

  • 권리락[exrights off, rights off]

    구주에 부여되는 신주 인수권 또는 신주의 유상·무상교부를 받을 권리가 없어진 상태를 말한다...

  • 공공자금관리기금

    정부가 연금, 기금, 우체국 예금 등과 같은 공공자금을 민간시장에서 굴리지 않고 공공투자나...

  • 국경조정세[Border Adjustment Tax]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이 2017년 추진했던 세제로 수입품에 대한 세율은 올리고 수출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