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건강기능식품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가공한 식품.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이다.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절차대로 만들어지며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문구나 인증마크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건강식품’, ‘자연식품’, ‘천연식품’과 같은 명칭은 ‘건강기능식품’과는 다르다. 또한 모든 건강기능식품에는 기능성원료의 '기능성'이 표시되어 있다.

하지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은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나 생리기능 활성화를 통하여 건강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을 주목으로 하기에 질병 예방이나 치료를 목적으로하는 의약품과는 확연히 다르다.

  • 광대역 LTE·LTE-A

    광대역 LTE는 기존 LTE 주파수 대역을 넓히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20㎒ LTE 주...

  • 긴급조정권[emergency adjustment, emergency arbitration]

    공공적인 성격이 강하거나 국민경제에 커다란 양향력이 있는 사업장에 노동쟁의 행위가 발생할 ...

  • 국민연금제[national pension]

    노후빈곤 문제로부터 모든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보험제도로 1988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 기간입찰대출[Term-Auction Facility, TAF]

    2007년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RB)가 서브프라임 사태로 발생한 신용경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