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가위험도

[country risk]

국가위험이란 투자상대국의 정치, 경제와 법령상의 문제로 야기될 수 있는 투자원리금의 상환불능 또는 연기의 위험을 말하는 것으로 채무불능, 지급불능, 일시지급정지, 지급연기, 조건 재교부 등의 위험을 말한다.

이 같은 국가위험의 종류는 정치적 위험, 경제적 위험, 법령·관습상의 위험이 있다. 정치적 위험이란 전쟁, 내란, 폭동 등 정치적 변화로 대외지급불능 상태가 발생하여 회수불능에 도달할 수 있는 위험이다. 경제적인 위험은 경제성장의 악화나 국제수지 악화로 지급불능의 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며, 법령·관습상의 위험은 법령이나 관습의 변화로 대외지급이 금지되거나 제한되는 위험을 가리킨다.

정기적으로 국가별 위험도를 평가, 발표하는 기관으로는 유로머니, 일본공사채연구소(JBRI) 등이 있다.

  • 가등기[provisional registration]

    장래의 본등기에 대비하여 미리 등기부상의 순위를 보전하기 위해 행하는 등기. 가등기...

  • 규범경제학[normative economics]

    어떤 경제 상태가 바람직한가를 탐구 대상으로 하며, 주관적 가치판단이 개입됨.

  •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

    한 나라의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지표. 가계·기업·정부 등 경제 주체들이 일정기간 동안 생산...

  • 군인연금

    군인연금은 당초 공무원연금에 포함, 1960년부터 실시됐다. 그러나 신체적 장애나 전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