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역조건
[terms of trade]교역조건은 한 나라의 상품과 다른 나라 상품 간 교환 비율을 말한다. 교역조건을 통해 상품 수출입에 따른 가격측면 유, 불리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수출품 1단위와 교환되는 수입품 양이 증가하면 교역조건은 유리해지고, 감소하면 불리해진다.
이러한 교역조건에는 ①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가격비율을 나타내는 순상품 교역조건 ② 수출수량과 수입수량의 비율을 뜻하는 총상품 교역조건 ③ 순상품 교역조건과 수출수량지수를 곱한 소득교역 상품조건 ④ 수출입가격 비율과 수출입상품의 생산성 비율을 곱한 요소교역조건 등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은 순상품 교역조건과 소득교역조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이 이 2가지를 산출, 발표하고 있다. 한편, 교역조건지수는 상품 수출입에 따른 가격상의 유리함과 불리함이 어느 정도인가 알아보고 또 원인을 규명하여 이를 무역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작성된다.
-
가명정보결합
서로 다른 개인정보처리자가 공통으로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가명정보를 하...
-
금융투자업협회[Korea Financial Investment Association, KOFIA]
증권사, 자산운용사, 선물거래회사 등 주요 금융기업들이 모여 결성한 단체로 2009년 ‘자...
-
가격협정
가격경쟁을 피하고 업계의 가격안정을 목적으로 체결하는 협정.수평적 가격안정정책으로서의 가격...
-
경제고통지수[economic misery index]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인 삶의 질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이 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