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트렌드
[Google Trends]구글의 검색 키워드 추세를 지수화하고 이를 도표로 만들어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빅데이터 기반의 서비스이다.
해당 주제에 대한 대중적 관심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대상 기간 중 검색횟수가 가장 많았던 때를 100으로 정하고 시기별로 상대적 수치를 환산해 나타낸다.
www.google.com/trends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구글트렌드는 국제적으로 굵직 굵진한 사건들을 예견하는 것으로도 주목을 끌고 있다.
구글의 선다 피차이 CEO는 힐러리 클린턴과 도널드 트럼프가 경합하고 있을 때 ‘구글 트렌드’(Google Trends)로 당선자를 알아보라는 트윗을 남기기도 했다. 구글 트렌드에서 트럼프 관련 검색량은 지난 10월부터 클린턴 관련 검색량을 크게 앞섰다. 관심도에는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가 한데 섞여 있지만 격차나 지속성 등을 살펴볼 때 트럼프가 클린턴에 비해 유리한 흐름을 가져왔다는 측면에서 구글 트렌드가 트럼프의 승리를 점쳤다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구글 트렌드는 2016년 6월 영국에서 치러진 브렉시트 투표에서도 위력을 발휘했다. 당시 데이비드 캐머런 정부는 전화 여론조사 결과만 믿고 브렉시트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영국 언론들도 여론조사를 근거로 유럽연합(EU) 잔류에 힘을 실었다. 반면 구글 트렌드에 기반을 둔 빅데이터 분석에서는 잔류가 아니라 탈퇴가 유력한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2020년 지난 4번의 미국 대선 승자를 모두 맞췄던 구글이 처음으로 오답을 냈다. 대선 경선 내내 구글 검색량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줄곧 앞선 모습을 보였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승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구글 트렌드에서는 대체로 2배, 많을 때는 6배 넘게 바이든 당선인에 비해 더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실제로는 바이든이 근소한 차이로 승리를 거머쥐게 됐다.
구글 트렌드는 검색자가 검색하는 정보를 긍정과 부정으로 구분하지 않고 전체 검색량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유로 후보에 대한 부정적인 이슈가 있다 하더라도 모두 관심도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인기로 간주하기 어려울 때도 발생한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구글 트렌드로 선거 결과를 예측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곤 했다. 에니 무스타파라지 미국 웰즐리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검색량 활동을 통한 미국 선거 예측'라는 연구를 통해 "선거결과에서 어떤 경우에는 검색이 많은 후보가 우위를 가지지만, 특히 경쟁이 심한 경우에는 사람들은 부정적인 정보를 위해 후보자를 검색할 수 있어 구글 검색 결과가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
개인맞춤형 스마트러닝
학습자의 능력과 특성에 맞춰 지능적으로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해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학습효...
-
계약갱신청구제
주택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세입자가 최초 계약기간 2년을 채운 경우, 1회에 한해 2년의 ...
-
공시위반[disclosure violation]
공시위반은 상장회사가 자본시장법 또는 거래소 규정에 따라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할 정보를 허...
-
기초생활보장제도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절대빈곤가구가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자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