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환급
기업이 원자재를 들여와 이를 가공해 완제품을 수출할 경우 원자재에 수입시부과했던 관세를 되돌려주는 제도다.
국내기업의 수출지원을 목적으로 1975년 7월 1일에 도입됐다.
관세환급제는 원래 수입 당시 부담한 관세를 정확하게 되돌려받는 것이 원칙이나 제품을 만드는 데 얼마만큼의 수입원자재가 사용됐는지 정확히 따지기란 극히 어렵다.
따라서 관세환급액이 크지 않을 경우 환급액을 미리 정해놓고 일정 금액을 환급해 주고 있다. 이를 ‘간이정액환급제’라고 한다.
관세환급 규모가 클 경우는 납세에 대한 증빙서류 등을 갖춰 개별적으로 환급을 받을 수 있다.
관련어
- 참조어간이정액환급제, 수출품목별 관세환급
-
공매도 잔고 보고제도
주식 발행량의 일정 비율 이상으로 공매도 포지션을 쌓은 것에 대해 투자자가 해당 주식의 종...
-
구분계리
유배당 상품과 무배당 상품의 자산을 독립된 방식으로 회계처리하는 것. 자산운용을 통해 발생...
-
거친 연착륙[hard ''soft landing'']
연착륙은 하되 하강속도가 좀 빨라 예상보다 충격이 클 것이란 의미에서 만들어진 신조어. ...
-
경제개발계획
경제 발전을 목적으로 1962년부터 1996년까지 5년 단위로 추진되었던 경제계획이다.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