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후순위차입금

[subordinated debt]

일반 차입금들이 모두 상환된 뒤 변제청구권을 갖도록 약정을 맺은 차입금이다. 즉, 회사가 파산하거나 정리를 위해 잔여재산을 청산할 경우 차입금을 빌려준 일반채권들이 우선적으로 변제를 받은 후 남은 재산으로 변제하게 되는 차입금이다. 만일 잔여재산이 모자랄 때에는 상환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주주나 계열사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경우와 주로 정부정책상 증자가 어려운 은행, 증권 등 금융기관들이 후순위차입금 약정을 맺고 돈을 빌리는 경우가 많다.

정부에서도 금융기관들이 영업용 자본의 유지를 위해 후순위차입금 일정 범위를 영업용 자본에 가산토록 제도화하고 있다. 금융기관의 영업자본유지를 위해 만든 제도이기 때문에 영업용 순자본 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만기도래조차 유예된다. 1996년 6월 제일은행이 해외에서 2억달러의 후순위차입금을 빌린 것이 국내 첫 사례다.

  • 확정기간형 연금

    계약자의 생사와 관계없이 연금지급 개시전에 가입자가 정한 일정기간 동안 연금을 지급하는 상...

  •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

    말라리아 치료제. 류머티스 관절염이나 루프스 등의 예방에도 사용된다. 클로로퀸(chloro...

  • 화이트 스페이스[white space]

    TV 채널 간 주파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완충지역으로 남겨두어 쓰이지 않고 있는 주파수 대...

  • 현금흐름세[Destination-Based Cash Flow Tax, DBCFT]

    미국 기업의 현금흐름 유입에서 유출을 제외한 부분(순현금흐름)에 20%(법인)~25%(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