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할당관세

[quota tariff]

물가 안정,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위해 기본 관세율의 40% 범위 안에서 올리거나 내려 적용하는 탄력관세의 일종이다.

조정관세가 국내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관세율을 기본세율보다 높게 적용하는 것과 다른 점이다.

원활한 물자수급을 위해 특정 물품의 수입을 촉진할 필요가 있거나, 수입물품 가격이 급등하거나 이를 원재료로 한 제품의 국내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경우에는 기본관세율의 40%까지 낮춰 관세를 부과하고 반대로 일정 할당량을 초과하는 수량에 대해서는 기본관세율의 140%까지 높여 수입을 억제한다.

  • 활성원료[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 API]

    완제약을 만드는 의약품 원료.

  • 해외직접투자 유입잠재지수[FDI Inward Potential Index]

    한국이 외국인직접투자(FDI)를 유입할 수 있는 잠재능력을 말한다. FDI 유입잠재지수는 ...

  • 확정일자

    어떤 증서에 대해 그 작성된 일자에 관한 완전한 증거력을 가지고 있다고 법률이 인정하는 일...

  • 혁신도시

    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계기로 지역의 성장 거점지역에 조성되는 미래형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