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활동성비율

[activity ratio]

활동성비율은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자산들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비율이다. 이와 같은 비율들은 일정 기간(보통 1년간)의 매출액을 각종 주요 자산으로 나누어 산출된다. 그러므로 활동성비율은 대차대조표손익계산서의 자료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기업의 활동을 대표하는 것은 매출액이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투자된 구체적인 형태의 자산이 외상매출금, 재고자산, 총자산 등이다. 따라서 매출액과 각종 주요 자산의 관계를 비율에 의해서 평가하는 것도 기업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활동성비율은 유동성비율 평가시 추가적으로 고려되는 비율로, 특히 고도성장 기업의 경우 중요시된다. 활동성비율은 재고자산회전율, 유형자산회전율, 평균회수기간 회전율, 총자산(총자본)회전율로 구분된다.

  • 호들러[hodler]

    암호화폐 장기투자자를 말한다. (암호화폐를) `보유한다'라는 뜻의 영어단어인 hold...

  • 한국민간금융위원회

    우리나라 금융산업 발전을 위한 중립적이고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2007년 6월 말...

  • 환경위기시계[Environmental Doomsday Clock]

    환경전문가들이 환경 파괴에 따른 인류 생존의 위기감을 시간으로 표시한 것. 우리나라 ...

  • 헝 의회[hung parliament]

    영국 등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과반 정당이 없는 상황을 뜻한다. 어중간하게 걸려 있다는 뜻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