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재정거래

 

일정 시점에서 각국 환시세의 불균형을 이용하여 그 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외환거래를 말한다. 2개국간의 환시세 불균형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재정거래와 3개국 이상의 환시세를 이용하는 간접재정거래가 있다. 이러한 거래가 이뤄지기 위한 조건은 각 지역간에 환시세의 불균형이 존재하여야 하고, 그 차익이 거래비용보다 커야 하며, 각 시장간에 시차가 없고, 각 시장에서 환시세의 입수 및 환거래가 가능하여야 한다. 환재정거래의 결과 여러 통화간의 균형상태가 이뤄질 경우를 평면적 균형 또는 장소적 균형이라고 한다.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TTA]

    1988년 설립된 우리나라 정보통신표준을 제정하는 민간기구. 국내 정보통신표준의 제정은 물...

  • 하이퍼링크[hyperlink]

    하이퍼텍스트 문서 내의 단어, 어구(phrase), 기호, 이미지와 같은 요소와 인터넷의 ...

  • 확정보험료

    전년도에 근로자에게 실제로 지급한 임금총액에 산재보험료율을 곱해 산정한 보험료. 당해 보험...

  • 현물환율[spot exchange rate]

    외환거래 계약 후 통상 제2영업일 이내에 외환결제가 이루어지는 거래를 현물환거래라 하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