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과다노출

[over-exposure]

외채 위기에 즈음하여 1970년대에 비산유개발도상국에 대출한 국제은행들은 그들의 자본금 등에 비교하여 개발도상국에 너무 많이 대출하였고, 또 그러한 대출이 소수의 나라에 집중되어 있음을 지적하게 된다. 이러한 과다노출의 인식에 따라 외채국에 대한 더 이상의 대출을 하지 못한 채 과거의 대출상환을 연기해주거나 차환해주는, 소위 비자발적 대여를 하는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

은행이 대출한 것을 예정대로 상환받을 수 없게 되면 예금자의 인출요구에 대해 즉시 응해줄 수가 없고, 이것이 알려지게 되면 이른바 연쇄적 예금인출사태가 나타나게 된다. 국내금융에서는 이런 사태에 대해 중앙은행에 의한 최후의 대여자 기능이 준비되어 있다.

그러나 국제금융에서는 이러한 최후의 대여자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은행이 대출을 상환받지 못하게 되면서 국제금융권이 위기에 처하기 쉽다. 이러한 어려움 때문에 외채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탕감을 해주어야 한다는 종래의 의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의 대응방안은 채무재조정 등 상환연기가 주종을 이루어왔다.

  • 가속상각법[accelerated depreciation]

    기계, 설비 등을 감가상각하는 방법의 일종으로 내용연수 초기에 많은 금액을 상각하고 내용연...

  • 고용평등지표

    2006년 노동부가 한국노동연구원에 위탁하여 개발한 것으로 시간당 임금비율(노동보상도)과 ...

  • 경과이자[accrued interest]

    최근 매수일부터 매도 또는 만기일까지 보유 기간 동안 표면금리에 의해 산출된 과세표준을 의...

  • 감속기[speed reducer]

    회전운동을 하는 모터에 기어를 연결해 원하는 힘과 속도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데 산업용 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