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관리방식

 

통화당국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하여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통화공급목표를 세운다. 이를 지키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적절하게 활용해 통화량을 조절하는 것이 통화관리방식이다. 이같은 통화관리방식에는 크게 직접규제와 간접규제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직접규제는 은행을 통하여 흘러나가는 자금의 양을 정부, 민간, 해외 및 기타 부문 등 각 공급 경로별로 한도를 정해 이 한도 내에서 자금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시중에 풀려나가는 돈의 양을 직접 규제하는 것이다. 융자사전승인제, 금융기관 대출한도제 등을 들 수 있다.

간접규제는 민간은행으로부터 흘러나가는 돈의 양을 직접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은행 창구를 통해 풀려나가는 일차적인 통화공급만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시중의 통화량을 적정수준으로 유도하는 방식이다. 중앙은행의 전통적인 통화관리 수단인 재할인정책, 지급준비율정책, 공개시장조작 등이 이에 속한다.

  • 통합 증거금 서비스

    원화 계좌로 해외 주식을 매수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 해외 주식을 사려면 원래는 환전 ...

  • 특수주소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주소를 표기할 때 지번 다음에 기재되는 명...

  • 트리플 E[Triple E]

    운송원가를 절감하고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선형. 트리플 E란 “규모의 경제 (econo...

  • 투자심리지표[sentiment indicators]

    투자가들의 상승세 또는 하락세에 대한 측정치. 많은 기술적 분석가들은 이러한 지표들을 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