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관리방식

 

통화당국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하여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통화공급목표를 세운다. 이를 지키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적절하게 활용해 통화량을 조절하는 것이 통화관리방식이다. 이같은 통화관리방식에는 크게 직접규제와 간접규제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직접규제는 은행을 통하여 흘러나가는 자금의 양을 정부, 민간, 해외 및 기타 부문 등 각 공급 경로별로 한도를 정해 이 한도 내에서 자금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시중에 풀려나가는 돈의 양을 직접 규제하는 것이다. 융자사전승인제, 금융기관 대출한도제 등을 들 수 있다.

간접규제는 민간은행으로부터 흘러나가는 돈의 양을 직접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은행 창구를 통해 풀려나가는 일차적인 통화공급만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시중의 통화량을 적정수준으로 유도하는 방식이다. 중앙은행의 전통적인 통화관리 수단인 재할인정책, 지급준비율정책, 공개시장조작 등이 이에 속한다.

  • 탄소성적표지제도

    일상 생활용품, 가정용 전기기기, 서비스 등 모든 제품의 생산, 운송, 사용, 폐기 등 전...

  • 테라스형 상가

    점포 앞에 테라스를 설치하고 커피숍ㆍ음식점 등의 영업을 하는 상가를 말한다. 길가에 들어선...

  • 투자자 숙려제도

    ELS난 ELF와 같은 고 위험성의 파생결합증권 청약후 대상투자자가 상품구조 및 위험 등을...

  • 톱니효과[Ratchet Effect]

    톱니바퀴가 한쪽으로만 도는 것처럼 소비수준(눈높이)이 한 번 높아지면 다시 낮아지기 힘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