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추곡수매제도

 

추곡의 수급조절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키고 농가소득 보장 및 소비자 가계보호를 위해 정부가 일정량의 벼를 사들이는 이중곡가제를 말한다. 일제 때부터 실시해 온 이중곡가제는 그동안 농민들로부터 사들인 쌀을 적절히 방출해 주곡인 쌀값의 등폭락을 조정, 물가안정에 기여하고 농산물 생산조절과 적정 생산량을 유도하는 방법 등으로 농가소득을 균형있게 배분하는 기능을 맡아왔다. 추곡수매는 양곡유통위원회의 건의를 받아 정부가 수매안을 확정한 다음 국회의 동의를 얻도록 되어 있다.

  • 체크카드

    직불카드와 신용카드의 기능을 혼합한 카드. 예금계좌 잔액범위내에서 사용한다는 점은 직불카드...

  • 채권발행할인액[bond discount]

    채권의 현행 시장가치와 액면가치나 만기가치의 차액. 채권은 할인발행이 가능하고 할인은 이자...

  • 침입탐지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방화벽과 함께 활용되는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으로 전산시스템과 네트워크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

  • 차등배당

    소유한 주식의 종류나 수량에 따라 배당금 크기에 차등을 두는 것을 의미한다. 대주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