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자산이익률

[return on assets, ROA]

수익성을 살펴보는 대표적인 지표로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충자산이익률이다. 즉,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누면 산출된다.

ROA (%) = (당기순이익/총자산) x100

총자산은 자기자본과 타인자본 (부채)을 합한 총자본과도 같기 때문에, 총자산이익률을 총자본순이익률이라고도 한다. ROA가 높다는 것은 자산에 비해 이익이 많다는 의미로서, 자산을 기준으로 볼 때 수익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총자산이익률은 주주의 돈과 은행에서 빌린돈 등을 모두 이용해 얼마나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라고 할 수 있다.

  • 취업규칙

    회사가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준수해야 할 규율과 임금·근로시간, 기타 근로조건에 관한 구체적...

  • 차입매수

    타인자본, 즉 외부 차입금으로 조달된 자금으로 기업을 인수·합병하는 것. 자금 여력이 충분...

  • 채권 파킹거래

    채권을 매수한 기관이 장부(book)에 곧바로 기록하지 않고 잠시 다른 중개인(증권사)에 ...

  • 최초 주택구입자 자금지원제

    2001년 7월부터 시행된 제도로 대출자격은 만 20세 이상 무주택세대주(단독 세대주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