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요소생산성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생산량 증가분에서 노동증가에 따른 생산증가분과 자본증가분에 따른 생산증가분을 제외한 생산량 증가분을 말한다.

즉 정해진 노동, 자본, 원자재 등 "눈에 보이는" 생산요소외에 기술개발이나 노사관계 경영혁신 같은 "눈에 안보이는" 부문이 얼마나 많은 상품을 생산해 내는가를 나타내는 생산효율성지표다.

총요소생산성은 노동생산성뿐 아니라 근로자의 업무 능력, 자본투자금액, 기술도 등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수치로 생산성을 분석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챗GPT[ChatGPT]

    테슬라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가 세운 오픈에이아이(Open AI)가 2022년 11월말 공개...

  • 차액관세

    차액관세는 특정 물품의 수급 불안정으로 야기되는 가격의 급격한 변동을 막고 국내가격을 안정...

  • 친수구역[親水區域]

    4대강 등 국가하천 개발사업을 통해 자연환경이 개선된 구역이다. 하천 양쪽 2㎞ 이내 지역...

  • 차량용 요소수

    불스 원샷''같은 차량용 첨가제와 달리, 연료와 별도로 차량에 장착되는 촉매제로 질소산화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