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채권수익률

[bond yield]

채권 수익률은 예금 이자율과 같은 개념으로 크게 △발행수익률 △유통수익률로 나눠볼 수 있다. 발행수익률은 채권을 처음 발행할 때 약속한 이자율이며, 유통수익률은 이렇게 발행된 채권이 시장에서 거래될 때 적용되는 이자율이다. 채권수익률은 채권시장 가격의 변화와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채권가격이 상승하면 채권수익률은 떨어지게 되고 채권가격이 하락하면 채권수익률은 올라가게 된다. 채권수익률은 채권의 원리금 지급에 따르는 위험도(default risk), 채권의 만기, 유동성의 정도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지급불이행 위험이 낮을수록 그리고 만기가 짧고 유동성이 높을수록 낮아지게 된다.

  • 추후납부[추납]

    갑작스러운 실직이나 이직, 사업중단, 건강 악화 등으로 소득이 없어 보험료를 내지 못한 기...

  • 최소노력원칙[leasteffort principle]

    소비자는 가능한 한 최소의 노력으로 손쉽게 구매를 하려는 성향이 있다는 광고 이론. 이것은...

  • 처닝[churning]

    ‘휘젓기’ 쯤으로 번역될 수 있는 이 말의 경제학적 의미는 ‘대량 해고와 대규모 채용의 동...

  • 청년내일채움공제

    미취업 청년(만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중소·중견기업 유입을 촉진하고, 청년 근로자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