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개법인

[public corporation]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거나 모집설립 또는 공모증자한 법인으로서 일정한 요건을 갖춘 법인을 말한다.

즉 ① 주주 1인 및 그와 특수한 관계에 있는 사람이 소유한 주식의 총수가 발행한 주식총수의 51%이하 ② 소액주주의 보유주식수가 발행주식총수의 1백분의 40 이상 ③ 소액주주의 수가 3백명 이상일 것 등의 조건을 갖춘 법인이 공개법인이다. 공개법인의 주식을 공개주라 하며 상장주식과 같은 말이다.

  • 국가고객만족도지수[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 NCSI]

    국내외에서 생산, 국내 최종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고객이 직접 평...

  • 공연보상청구권

    음식점, 카페, 옷가게 등 모든 장소에서 음악을 틀 때마다 작사·작곡가와 공연자, 음반제작...

  • 교역조건[terms of trade]

    교역조건은 한 나라의 상품과 다른 나라 상품 간 교환 비율을 말한다. 교역조건을 통해 상품...

  • 개질수소[reformed hydrogen, hydrogen gas]

    천연가스나 석탄가스와 같은 탄화수소를 수소와 일산화탄소로 분해하여 생산하는 수소. 이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