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공기획

 

서울시내에서의 재개발 사업시 사전 타당성 조사부터 정비계획 수립 단계까지 서울시가 주도해 공공성이 담보된 합리적인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

2025년까지 24만호 주택공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재개발 활성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2021년 5월 26일 발표한 재개발 관련 6대 규제 완화 방안 중 하나이다.

'공공기획'을 도입하면 기존에 자치구가 맡아 통상 42개월 정도 걸리던 절차(사전타당성조사·기초생활권계획수립·정비계획수립)를 1/3 수준인 14개월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주민제안·사전검토(6개월→4개월), 법정절차(12개월→6개월) 등 나머지 절차도 단축돼 통상 5년이 걸리던 정비구역지정 기간이 2년 이내로 줄게된다.

또한 사전타당성 조사 단계가 통합·폐지되 주민동의율 확인 절차가 기존 3단계에서 2단계로 줄어든다.

  • 가계신용위험지수

    가계금융자산 대비 가계금융부채,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가계금융부채, 주택구입가격 대비 주택구...

  • 기초감염재생산지수

    감염자 한 명이 바이러스를 옮기는 환자 수를 뜻하는 지수. 이 지수가 1 이상이면 유...

  • 국부후면전계 태양전지[passivated emitter & rear locally diffused solar cell, PERL solar cell]

    태양전지 뒷면의 표면 결함을 줄여주는 박막기술 등을 적용해 일반 태양전지에 비해 평균 효율...

  • 금융통화위원회[Monetary Board]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우리나라 통화신용정책의 최고 결정기구다. 기준금리 조정부터 통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