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주의 공익권

 

주주는 회사에 대하여 공익권과 자익권을 가진다. 공익권이란 주주의 공동이익을 위하여 회사의 경영에 참여하는 권리로서 일반적으로 주주총회 참석, 위법 상황에 대한 유지청구, 주주총회의 소집청구권, 회사 장부의 열람권 등이 있다. 그러나 공익권 중 위법사항에 대한 유지청구, 주주총회의 소집, 장부열람 등을 개별주주의 권리로 철저히 인정하면 회사 경영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제한하는 조치도 있다. 최근 장부열람권 등을 허용하는 주주수를 대폭 낮춘 것은 소액주주들의 공익권을 확보해주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다.

  • 중고위기술 품목

    OECD는 기술수준 정도에 따라 수출상품을 고위기술 품목, 중고위기술 품목, 중저위기술, ...

  • 전자증권제도

    종이 실물이 아닌 전자등록으로만 발행·유통되는 제도. 실물증권의 위·변조와 유통·보관 비...

  • 자산담보부증권 대출기구[Term Asset-Backed Securities Loan Facility, TALF]

    신용카드대출 자동차대출 학자금대출 등 소비자 대출이 막히지 않도록 하는 기구다. Fe...

  • 정부조달[government procurement]

    공공조달(public procurement)이라고도 한다. 정부 및 정부기관이 자체적인 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