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등기
[provisional registration]장래의 본등기에 대비하여 미리 등기부상의 순위를 보전하기 위해 행하는 등기.
가등기를 한 다음에 본등기를 하면 대항력의 순위가 가등기를 한 때로 소급 적용된다. 가등기 이후에 한 일체의 등기는 효력을 상실한다.
예를 들어, 무담보의 토지라는 것을 알고 매매예약을 했더라도 정식으로 매매가 성립하기까지의 사이에 누군가가 여기에 저당권의 등기를 하면 후순위의 취득자는 결국 손해를 보게 된다. 따라서 도중에 제3자가 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등기를 할 필요가 있다.
가등기는 효과가 크면서 등록세는 적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가등기를 하려는 자는 먼저 그 부동산의 소유지를 관할하는 지방법원에 이를 신청하고 매매계약자나 농지매매계약서 등 상대방이 당연히 가등기에 응할 의무가 있다는 것을 소명한 서면 등을 제출한다. 그러면 보증금의 공탁 등이 필요없이 가등기를 해야 한다는 가등기명령정본을 교부받을 수 있다. 그것을 등기소에 제출하면 권리증이나 상대방의 날인없이 일방적으로 가등기를 할 수 있다.
-
기준년도[Historical Base Year]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시 기준이 되는 연도를 말한다. 선진국의 경우 ''90년을 기준년도로...
-
거래소 감리
증권사 등 회원의 매매거래 활동 또는 투자자와의 수탁관계에서 공정거래 질서를 유지하도록 강...
-
급여 항목
국민건강보험에서 의료비 일부를 지급하는 진료나 치료 항목을 뜻한다. "급여"는 본래 ...
-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2015년 체결된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당사국이 스스로 발표하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