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가순자산비율

[price on book value ratio, PBR]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 주당순자산은 기업의 총자산에서 총 부채를 뺀 자기자본에서 무형자산, 이연자산 및 사외유출분 등을 제외한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주당순자산 비율은 영어줄임말로 PBR라고 하며 PER(주가수익비율)와 함께 주식투자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회사가 파산할 경우 회사는 총자산에서 부채를 우선 변제해야 한다. 그러고도 남는 자산이 순자산이란 것인데, 이것이 큰 회사는 그만큼 재무구조가 튼튼한 것이고 안정적이다. 주당 순자산은‘(총자산-총부채)÷발행주식수’가 된다. 그러므로 주당순자산비율(PBR)은 ‘주가÷주당순자산’이 되고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 수익력이 높다는 말이다. PBR이 1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뜻이다.

PER가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를 평가하는 지표인데 비해 PBR는 기업의 재무상태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다.

  • 제조전문회사[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 EMS]

    전자. IT 및 바이오 제품의 생산을 위탁받아 제조, 공급하는 서비스나 업체를 말한다. 발...

  •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해당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재료로 그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기술을 말한...

  • 종합공사업종

    전체 시설물의 완성을 위해 종합적인 계획·관리·조정 역할을 하는 업종으로 토목, 건축, 토...

  • 조합원 권리가액

    조합원이 재개발.재건축사업을 진행할 때 본인이 제공한 종전 부동산의 평가금액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