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가순자산비율

[price on book value ratio, PBR]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값. 주당순자산은 기업의 총자산에서 총 부채를 뺀 자기자본에서 무형자산, 이연자산 및 사외유출분 등을 제외한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을 말한다.

주당순자산 비율은 영어줄임말로 PBR라고 하며 PER(주가수익비율)와 함께 주식투자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회사가 파산할 경우 회사는 총자산에서 부채를 우선 변제해야 한다. 그러고도 남는 자산이 순자산이란 것인데, 이것이 큰 회사는 그만큼 재무구조가 튼튼한 것이고 안정적이다. 주당 순자산은‘(총자산-총부채)÷발행주식수’가 된다. 그러므로 주당순자산비율(PBR)은 ‘주가÷주당순자산’이 되고 배수가 낮을수록 기업의 성장력, 수익력이 높다는 말이다. PBR이 1미만이면 주가가 장부상 순자산가치(청산가치)에도 못 미친다는 뜻이다.

PER가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를 평가하는 지표인데 비해 PBR는 기업의 재무상태면에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다.

관련어

  • 중미통합체제[SICA]

    SICA는 Central American Integration System를 뜻하는 스페인...

  • 전업블로거

    블로그를 직업으로 삼는 사람. 웹2.0 시대를 맞이해 블로그 사용이 쉬워지면서 블로그를 즐...

  • 전력계통운영시스템[energy market system, EMS]

    국가의 전력공급을 24시간 계획, 실시간 운영 및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국가전력계통을 움직...

  • 중진국 함정[middle income trap]

    개발도상국이 경제발전 초기에는 순조롭게 성장하다 중진국 수준에 와서는 어느 순간에 성장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