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적정최고가방식

 

정부 재산을 매각할 때 응찰가격을 높게 쓴 입찰자 중 일부를 대상으로 평균가격을 산출한 다음 이 가격에 가장 가까운 응찰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방식. 부찰제와 비슷한 방식이다. 정부재산을 매각하는 방법으로 일반경쟁입찰, 제한경쟁입찰, 지명경쟁입찰, 수의계약 등이 있으며 이중 입찰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는 일반경쟁입찰방식이 가장 많이 쓰인다. 이런 재산매각 방법은 참여대상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다. 다른 분류방식은 낙찰자 선정방법에 따라 최고가방식, 심사 및 선정방식, 적정최고가방식, 예정가방식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 자동차 플랫폼[car platform]

    서스펜션과 차량의 심장역할을 하는 동력장치(파워트레인, power train) 배치에서부터...

  • 자연보험료[natural premium]

    연령별 사망률에 기초를 두고 1년마다 수지의 균형을 이루도록 계산한 보험료를 뜻한다. 따라...

  • 제2형 당뇨병[diabetes mellitus type 2]

    적절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인슐린이 체내에서 분비되지 않거나 세포가 인슐린에 ...

  • 자동차 리콜

    자동차가 안전 기준에 부적합하거나 안전 운행에 지장을 주는 결함이 있을 때 자동차 제작·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