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제도
[employment insurance]근로자가 실직할 경우 일정기간 동안 실업수당을 지급하고 원하면 전직훈련은 물론 취업도 알선해주는 고용안정제도. 실직에 대해 실업수당만 지급하는 실업보험과 달리 구인·구직정보망 운용, 취업알선 등을 통해 고용안정에 기여하는 적극적인 인력정책이다. 특히 산업구조 조정기나 경기침체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고용안정대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고용보험은 19세기 중반 유럽에서 노조의 실업에 대비한 자구책으로 생겨났으며 현재 미국·일본·독일 등 선진국은 대부분 실업보험 성격의 고용보험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5년 7월부터 이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사업주와 근로자는 각각 월 급여액의 일정비율을 보험료로 납부해야 하며, 근로자는 나이와 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복리후생 성격의 수당을 제외한 임금 총액의 50%까지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
-
구조조정 함정[structure trap]
부실기업,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처리 등 경제구조를 개혁하려는 시도를 하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
-
결합상품
휴대폰 초고속인터넷 인터넷TV(IPTV) 인터넷전화 등을 묶어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는 상품...
-
과다노출[over-exposure]
외채 위기에 즈음하여 1970년대에 비산유개발도상국에 대출한 국제은행들은 그들의 자본금 등...
-
금융비용 대 매출액비율[financial expenses to sales]
매출액 중 금융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이 부담하고 있는 금융비용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