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장부상 이익

[paper profit]

미실현이익으로 불리는 것으로 자산의 취득원가와 비교하여, 자산을 계속 보유함으로써 점점 시장가치가 증가하는 데 따른 자산가치의 증가분을 평가익 또는 장부상이익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역사적 원가주의와 함께 실현주의가 사용되기 때문에, 기업은 시장가치가 증가하는 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산이 교환 또는 매각될 때까지는 이익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평가이익이라고도 한다.

  • 준공공임대주택

    세제 혜택 등을 받는 대신 정부로부터 임대료 규제를 받는 민간 임대주택. 정부에서 주거...

  • 전자증권법

    실물증권을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 방법으로 증권의 발행·유통·권리행사 등 증권 사무를 처리...

  • 장외파생상품 거래정보저장소[Trade Repository, TR]

    장외파생상품 거래와 관련한 모든 정보를 보관·분석하고 이를 금융당국에 보고하는 거래정보 등...

  • 전력공급예비율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발전소의 돌발사고 등에 대비, 비축하고 있는 예비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