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존수입제한
[residual quantitative import restriction]어떤 부문에 있어 GATT는 수입수량제한에 있어 관세보다 더 엄격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마약, 각성제, 무기, 탄약 등의 수입제한은 인도적·안전보장상 당연하다. 그밖에는 국제수지의 악화, 발전도상국의 개발촉진 필요 또는 세이프 가드 발동의 경우에 한해서 협의를 거쳐 소정의 절차를 원칙으로 하여 수입제한을 용인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타당한 이유와 소정의 절차를 밟지 않은 채 국내산업보호를 목적으로 수입제한조치를 계속하고 있는 예도 적지 않은데 이것을 잔존수입제한이라고 한다.
-
중위투표자 정리와 콩도르세의 역설[median voter theorem]
주민의 선호가 다른 다수의 대안적 정책이 존재할 때 두 정당은 과반수의 득표를 위해 극단적...
-
잠재성장률[potential growth rate]
한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자본, 노동력, 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사용해서 물가상승을...
-
지급어음[notes payable]
지급어음은 일반적 상거래에서 발생한 어음상의 채무로서 상품이나 원재료의 매입대금에 대하여 ...
-
전자단기사채[Short-Term Bond, STB]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자금을 종이가 아닌 '전자' 방식으로 발행 및 유통되는 금융상품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