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100억달러(약 11조8760억원)를 투입해 개발한 우주 망원경. 인류 역사상 가장 고성능이라고 평가되는 허블 우주망원경을 잇는 차세대 우주망원경이다. 가시광선 영역을 관측하는 허블 우주망원경과 달리 적외선 영역을 관측한다.
2021년 12월 25일(현지시간) 오전 7시20분쯤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인근의 유럽우주국(ESA) 발사장인 기아나 우주센터의 아리안 제3발사장(ELA-3)에서 웹 망원경을 아리안5호 로켓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웹 망원경은 약 27분간 극초음속 비행을 한 뒤 향후 13일 동안 자체 항해를 할 때 테니스코트 크기의 태양 빛 차광막과 지름 6.5m 주경을 펼치는 등 단일 임무로는 가장 복잡한 우주 전개와 배치를 진행한다. 허블 우주망원경 주경이 2.4m인 점을 감안하면 웹 망원경의 강력한 성능을 짐작할 수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웹 망원경 주경의 단순 성능이 허블 망원경보다 100배 정도 뛰어나다”고 분석했다.
웹 망원경은 이후 한 달 동안 지구와 태양의 중력 균형이 이뤄지는 약 150만㎞ 밖의 제2라그랑주점(L2)으로 비행한다. 라그랑주 L2 포인트는 태양, 지구의 중력과 원심력이 평행을 이루는 지점을 말한다. 과학계에서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통해 지금까지 관측되지 못했던 빅뱅 이후 우주 최초의 별과 은하를 관측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웹 망원경은 가시광선을 관찰하는 허블 우주망원경보다 파장이 길어 우주의 먼지와 가스 구름을 뚫고 더 멀리 가는 근·중적외선을 포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빅뱅(우주 대폭발) 이후 초기 우주인 약 135억 년 전의 1세대 은하를 관측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외계 행성의 대기 구성 성분을 파악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인지 알 수 있는 기능도 갖췄다.
NASA는 2022년 7월 11일 '나사(NASA)'는 JWST가 포착한 '남쪽 고리 성운', '스테판의 오중주', '용골자리 성운' 등의 풀컬러 우주사진을 발표했다. NASA는 특히 웹 망원경을 통해 지구에서 115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분광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증기 형태의 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과학계에선 웹 망원경이 빅뱅 이후 초기 우주, 우주의 탄생 및 진화, 외계 생명체 존재 여부 등을 규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진공단열 기술[vacuum insulation]
진공기술을 활용하여 열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단열소재 기술. 제로에너지빌딩 구현 등 에너...
-
지급준비자산제도
한국은행이 ''한국은행법'' 제63조에 의거 필요할 때 금융기관에 대해 예금 지급 준비금과...
-
직교다분할전송[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주파수 대역을 수백 개로 쪼개고 각 대역마다 적절한 데이터 량을 할당하여 주파수간 간섭을 ...
-
전자코[electronic nose]
인간의 후각 시스템을 모방한 전자적 장치로, 인간의 코가 연속적으로 다른 냄새를 맡지 못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