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사주 매입

[self-tender, buy-back]

회사가 자기 회사의 주식을 주식시장 등에서 사들이는 것을 뜻한다. 자사주 매입은 주식 유통 물량을 줄여주기 때문에 주가 상승 요인이 되고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을 하면 배당처럼 주주에게 이익을 환원해 주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자사주 매입은 투자활동으로 성장해야 하는 기업이 자기주식을 사는데 돈을 쓰는 것은 성장할 만한 사업영역을 못찾고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주가에 대한 영향이 단기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자사주 매입은 적대적 인수·합병(M&A)에 대비해 경영권을 보호하는 수단으로 쓰이기도 한다. 자사주가 그 자체로 우호지분으로 쓸 수는 없지만 우호적인 기업과 서로 주식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우호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 종업원에게 주식을 지급하거나 회사 소유구조를 개편하기 위해 자사주 매입을 하기도 한다. 자사주를 사는 돈은 자기자금이어야 하고 자사주 취득한도는 자본총계에서 자본금과 자본준비금, 이익준비금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인 ''상법상 배당 가능한 이익''이어야 한다.

  • 전환손실

    석유 석탄 등의 1차 에너지를 전력, 열에너지 등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

  • 지속형 패턴

    기존 추세가 잠시 보합상태로 머무르고 있는 패턴으로서, 단기 상승에 따른 호흡조절, 속도조...

  • 집중투자[concentrated investment]

    위험분산을 노리는 분산투자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어느 한 종목을 집중적으로 매입하는 투자형태...

  • 종자번식[seed propagation]

    종자로 번식하는 것을 말한다. 암수 양성의 생식세포, 즉 배우자를 형성하여 번식하므로 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