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위성간 전파간섭

 

특정 통신위성이 지상의 기지국과 전파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인근 주파수 대역의 위성에 영향을 미쳐 통신 및 방송 서비스에 장애를 주는 현상. 전파간섭이 일어나면 방송의 화질이 떨어지고 통신에 혼신이 생긴다. 전파간섭은 일반적으로 두 위성간의 궤도와 주파수 대역이 비슷하거나 지상의 기지국이 가까울 때, 또는 한 위성이 전파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할 때 자주 발생하며 지리적인 인접국가들 사이에서 빈번히 일어난다. 이의 예방책은 해당 국가들의 기지국간 거리를 최대한 멀리하고 전파 강도를 타국 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 최소화해 운용해야 한다.

  • 이산화탄소 포집ㆍ저장기술[Carbon Capture & Storage, CCS]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붙잡아 땅속이나 바다 등에 묻는 기술. 이 기술을 이용...

  • 유닉스[UNIX]

    1969년 미국 AT&T의 벨 연구소에서 켄 톰슨(Ken Thomp son)의 주도하에 개...

  • 에틸렌[ethylene]

    나프타 등 석유 유분을 정제해 얻는 화학물질. 화학식은 C₂H₄이며 탄소와 탄소 사이에 이...

  • 연대보증

    개인이나 기업이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릴 때 원래 채무자가 빚을 갚지 못할 경우 이 빚을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