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용순자본비율
[net capital ratio, NCR]1997년 4월 도입된 증권회사의 자기자본규제 제도.
은행의 BIS비율처럼 증권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부담하고 있는 위험의 규모가 보유 중인 증권사의 유동성에 비춰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유동성자기자본(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으로 나눠 백분율로 표시한다. NCR이 높을수록 자본건전성이 양호하다는 뜻이다. 증권회사들은 항상 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보다 크게 유지해야 하며 그 비율이 100%, 120%, 150%에 미달할 때마다 각각 경영개선 권고, 요구, 명령의 적기시정조치가 이뤄진다.
투자자 보호와 증권산업 안정을 위해 제도적으로 마련한 장치지만, 증권업계의 자기자본투자(PI)를 제한해 종합금융투자사업자(투자은행 · IB)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
일본 경제안전보장추진법
공급망 강화, 핵심 인프라 안전 확보, 첨단기술 연구개발 지원, 특허 비공개화 등 네 가지...
-
엄브렐라 펀드[umbrella fund]
하나의 어미펀드아래 서로 다른 여러개의 하위펀드(Sub-Fund)가 모여 구성된 상품. 하...
-
압류재산
(공매)채무자가 세금을 체납한 경우 체납자의 재산을 압류해 캠코에 매각을 의뢰한 재산
-
임시긴급수입제한조치[temporary safeguard]
국제수지 악화 등 금융상의 위기나 환율, 통화정책 등 거시경제정책에 의해 국내 산업에 심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