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영업용순자본비율

[net capital ratio, NCR]

1997년 4월 도입된 증권회사자기자본규제 제도.

은행의 BIS비율처럼 증권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부담하고 있는 위험의 규모가 보유 중인 증권사의 유동성에 비춰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유동성자기자본(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으로 나눠 백분율로 표시한다. NCR이 높을수록 자본건전성이 양호하다는 뜻이다. 증권회사들은 항상 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보다 크게 유지해야 하며 그 비율이 100%, 120%, 150%에 미달할 때마다 각각 경영개선 권고, 요구, 명령의 적기시정조치가 이뤄진다.

투자자 보호와 증권산업 안정을 위해 제도적으로 마련한 장치지만, 증권업계의 자기자본투자(PI)를 제한해 종합금융투자사업자(투자은행 · IB)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관련어

  • 인터딜러 브로커[inter-dealer broker]

    사설 거래소. 외국의 경우 채권 같은 유가증권 외에 외환, 금, 단기자금 등 다양한 상품을...

  • 이자율변동보험

    금융기관이 고정금리(CIRR)로 대출 후 차주로부터 받은 이자금액과 변동금리(LIBOR) ...

  • 이주비 대출

    은행이 재건축 대상 토지를 담보로 제공하는 대출. 담보대출 금리는 피담보 물건에 대한 ...

  • 용적률[floor area ratio, FAR]

    건축물의 연면적(건축물 각 층 바닥면적의 합계)을 대지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지하층 및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