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용도지역제

 

토지의 이용과 건축물의 용도,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하기 위해 책정해놓은 구역을 뜻한다. 용도 지역에 따라 용적률 차이가 있다.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자연환경보전지역 등 크게 4종류로 구분한다. 도시지역은 다시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등으로 구분되고, 주거지역은 1~2종 전용주거지역, 1~3종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으로 분류된다. 1종보다는 2종이, 2종보다는 3종의 용적률이 더 높다. 상업지역은 중심ㆍ일반ㆍ근린ㆍ유통상업지역 등으로 재분류하는데, 용적률이 높기 때문에 여러 용도지역 중 땅값이 가장 비싸다.

  • 월드클래스 300

    정부가 2017년까지 글로벌 강소기업 300개를 키우겠다는 프로젝트. 매출 400억~1조원...

  • 원샷법

    공급과잉 업종 기업이 신속하게 사업 재편을 할 수 있도록 인수합병(M&A) 등 사업 재편을...

  • 원가회수율

    전력 판매액을 전력판매 원가로 나눈 값. 100% 이상이면 한전이 전기를 원가보다 비싸게 ...

  •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

    특정 관광지나 도시에 수용 한계를 초과해 지나치게 많은 여행객들이 몰려들어 발생하는 문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