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용도지역제

 

토지의 이용과 건축물의 용도,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제한하기 위해 책정해놓은 구역을 뜻한다. 용도 지역에 따라 용적률 차이가 있다.

용도지역은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자연환경보전지역 등 크게 4종류로 구분한다. 도시지역은 다시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등으로 구분되고, 주거지역은 1~2종 전용주거지역, 1~3종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으로 분류된다. 1종보다는 2종이, 2종보다는 3종의 용적률이 더 높다. 상업지역은 중심ㆍ일반ㆍ근린ㆍ유통상업지역 등으로 재분류하는데, 용적률이 높기 때문에 여러 용도지역 중 땅값이 가장 비싸다.

  • 임베디드 소프트웨어[embedded software]

    일반 PC를 제외한 각종 전자제품, 정보기기 등에 설치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미리 정해진 ...

  • 액추에이터[Actuator]

    물리적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 모음. 전동식·유압식·공압식 모터, 드라이버(모터 제어기...

  • 이사회[board of directors]

    회사정책을 세우고 주요 임원과 운영요원을 선출하기 위해 주주에 의해 선출된 집단. 주식회사...

  • 역진성

    소득이 낮은 사람이 더 높은 세부담을 지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