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외환집중제

[foreign exchange concentration system]

민간이 외국돈(외환)을 보유하는 것에 국가가 일정한 제한을 가하는 제도를 말한다. 외환집중방법으로는 민간의 외환보유 한도를 정하기도 하고 보유한도는 정하지 않되 일정 금액 이상은 신고토록 하기도 한다. 또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외환집중제에는 크게 예치집중제와 매각집중제가 있다. 예치집중제는 수출업체 등이 받은 외국돈을 외국환은행에 개설한 계좌에 의무적으로 예금해놓도록 하는 제도다. 우리나라는 1961년 2월까지 이같은 예치집중제를 실시했다. 매각집중제는 외환을 외국환은행에 매각, 국내돈으로 바꾸어가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말한다.

  • 알고리즘[algorithm]

    입력된 데이터를 일정한 연산과 규칙에 따라 재배열해 문제해결을 도출해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

  • 여전채

    신용카드업, 시설대여업(리스업), 할부금융업, 신기술사업금융업 등 여신전문금융업을 영위하는...

  • 유러달러 예금증서[Eurodollar certificate of deposit]

    달러로 이자와 원금이 지불되는 미국 외에 주로 유럽에서 은행에 의해 발행되는 CD를 말한다...

  • 일괄구제

    사업자가 공정거래관련 법령을 위반해 다수의 소비자에게 비슷한 유형의 피해를 입힌 경우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