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외환집중제

[foreign exchange concentration system]

민간이 외국돈(외환)을 보유하는 것에 국가가 일정한 제한을 가하는 제도를 말한다. 외환집중방법으로는 민간의 외환보유 한도를 정하기도 하고 보유한도는 정하지 않되 일정 금액 이상은 신고토록 하기도 한다. 또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외환집중제에는 크게 예치집중제와 매각집중제가 있다. 예치집중제는 수출업체 등이 받은 외국돈을 외국환은행에 개설한 계좌에 의무적으로 예금해놓도록 하는 제도다. 우리나라는 1961년 2월까지 이같은 예치집중제를 실시했다. 매각집중제는 외환을 외국환은행에 매각, 국내돈으로 바꾸어가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말한다.

  • 애그플레이션[Agflation]

    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 농산...

  • 유전공학[generic engineering]

    미생물, 식물 그리고 동물의 유전적 성질을 바꾸거나 증진시키기 위한 DNA 복제에 의해 유...

  • 열파[heat wave]

    평균 기온보다 5도 이상 높은 극심한 고온이 닷새 이상 지속되는 이상 기후다. 기아, 사망...

  • 유동성 리스크[liquidity risk]

    거래 일방이 일시적인 자금부족으로 인해 정해진 결제시점에서 결제의무를 이행하지 못함으로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