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집중제
[foreign exchange concentration system]민간이 외국돈(외환)을 보유하는 것에 국가가 일정한 제한을 가하는 제도를 말한다. 외환집중방법으로는 민간의 외환보유 한도를 정하기도 하고 보유한도는 정하지 않되 일정 금액 이상은 신고토록 하기도 한다. 또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외환집중제에는 크게 예치집중제와 매각집중제가 있다. 예치집중제는 수출업체 등이 받은 외국돈을 외국환은행에 개설한 계좌에 의무적으로 예금해놓도록 하는 제도다. 우리나라는 1961년 2월까지 이같은 예치집중제를 실시했다. 매각집중제는 외환을 외국환은행에 매각, 국내돈으로 바꾸어가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말한다.
-
역시계곡선
주가와 거래량의 상관곡선인데 종축에 25일 이동평균주가, 횡축에 25일 이동평균거래량을 나...
-
유럽연합 개인정보 보호법[EU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EU 회원국 간 자유로운 개인정보 이동과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유럽연합(EU)이 제...
-
일괄매각[block sale]
가격과 물량을 미리 정해 놓고 특정 주체에게 일정 지분을 묶어 일괄 매각하는 지분 매각방식...
-
에버그리닝[evergreening]
전략 의약품 특허를 처음 등록할 때 특허 범위를 넓게 설정한 뒤 2∼3년 간격으로 약의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