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산성화
[Ocean acidification]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바닷물에 녹아들면서 해수의 pH가 8 이하로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해양산성화의 주된 원인은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인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이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의 약 ¼은 해양으로 흡수된다.
흡수된 이산화탄소로 인해 수소이온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해수의 pH가 낮아지게 되며 해양산성화가 발생한다.
해양산성화 관측은 비교적 최근 시작되어 그 관측기관이 짧고 측정방법이나 계절에 따른 변동이 큰 지표이다.
해양산성화는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탄산칼슘으로 껍질이나 골격을 만드는 조개, 게, 산호 등의 생물들이 큰 피해를 입는다
-
하노버메세 2017[Hannover Messe]
독일 하노버 국제전시장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박람회. 하노버메세는 1947년...
-
한계대체율[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한계대체율이란 A와 B의 두 가지 재화가 있다고 할 때, B재화 한 단위를 얻기 위해 포기...
-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조직이나 프로젝트의 성과를 평가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를 나타낸다. K...
-
해외 매출채권 팩토링
해외에 물건을 파는 회사가 수출을 통해 발생한 채권을 은행 등에 넘긴 뒤 대출받아 현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