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해양산성화

[Ocean acidification]

대기 중 이산화탄소가 바닷물에 녹아들면서 해수의 pH가 8 이하로 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해양산성화의 주된 원인은 화석연료 사용 증가로 인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이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의 약 ¼은 해양으로 흡수된다.

흡수된 이산화탄소로 인해 수소이온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해수의 pH가 낮아지게 되며 해양산성화가 발생한다.

해양산성화 관측은 비교적 최근 시작되어 그 관측기관이 짧고 측정방법이나 계절에 따른 변동이 큰 지표이다.

해양산성화는 해양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탄산칼슘으로 껍질이나 골격을 만드는 조개, 게, 산호 등의 생물들이 큰 피해를 입는다

  • 화해[compromise]

    화해는 재판 과정 중 당사자끼리 합의가 돼 재판이 종결되는 절차다. 당사자끼리 합의가 안 ...

  • 현황조사서

    매각물건명세서와 함께 입찰예정자가 응찰에 앞서 반드시 열람해 봐야 할 법원의 또 다른 경매...

  • 하트블리드 버그

    암호화기술에 내재된 결함. 대부분의 웹사이트 서버가 쓰는 암호화 기술(오픈SSL)에 존재하...

  • 후판[厚板]

    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판을 말한다. 선박용이나 건설용 철강재로 주로 쓰인다. 대부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