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율이중호가제

 

은행 간 거래에서 이용되는 환율과 은행-고객 간 거래에서 이용되는 환율을 분리, 환율을 이중으로 제시하는 제도. 2006년 2월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그전까지는 은행간 환율을 개인이나 기업들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 제도의 시행으로 일반 고객은 은행이 제시하는 기준인 준거환율을 참고해 외환을 거래하게 됐다. 이 제도의 목적은 최적호가, 체결가, 거래내역 등의 거래정보를 차단해 역외(off-shore) 투기세력의 시장교란 행위를 차단함으로써 외환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 휴면 환급

    납세자가 세금을 실제보다 많이 냈거나 중가예납액보다 실제 세액이 적을 경우 정산한 이후 이...

  • 헤어컷[haircut]

    가치가 하락한 주식이나 채권과 같은 유가증권의 가격을 현실화 하는 것. 이때 적용되는 하락...

  • 후취담보

    주택 등 대출 대상 부동산을 담보로 잡을 수 없어 먼저 돈을 빌려준 후 주택이 완공되어 소...

  • 한계기업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이거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