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병원학교

 

병원학교는 장기 입원이나 통원 치료를 받아야 하는 학생들이 정규 학교 교육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 기관이다.

병원 내에 설치된 파견학급 형태의 학교인 셈이다.

이러한 학교는 주로 3개월 이상 장기 입원해야 하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과 통원 치료로 인해 일반 학교 수업 참여가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

2024년 3월 현재 전국적으로 37곳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월평균 이용 환자 수는 약 460명에 달한다. 병원학교를 이용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소속 학교 학적을 유지하면서, 수업은 병원 내에서 위탁교육 형태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동안에도 학업을 지속할 수 있으며, 교육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 보복관세[retaliatory tax]

    외국이 자국에 불이익이 되는 조처를 취했을 때 이에 대응해 해당 국가에서 수입하는 상품에 ...

  • 불완전취업자

    추가적으로 일할 의지와 능력은 있으나 일자리를 얻지 못해 주당 근로시간이 17시간 이하인 ...

  • 부당염매

    부당염매란 자기 또는 계열회사의 경쟁사업자를 배제하기 위하여 자기가 공급하는 상품 또는 용...

  • 바이모달트램[bimodal tram]

    버스와 지하철을 혼합한 신개념 차량으로 무공해 동력원인 연료전지를 이용해 버스처럼 일반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