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담배꽁초 투자

[Cigarette butt investing]

회사의 장부가치보다도 주가가 저평가된 초저렴한 종목을 발굴하는 투자 방식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벤자민 그레이엄이 제시한 것으로, 길거리에 버려진 담배꽁초는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지만 그 안에 아직 꺼지지 않은 가치가 숨어 있을 수 있다는 비유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투자 방식은 워런 버핏이 초기 구사했던 투자 방식으로 유명하다. 그의 멘토였던 벤저민 그레이엄의 영향을 받았으며, 1962년 인수 당시 섬유 제조업체였던 버크셔도 거의 죽어가던 '꽁초 기업' 중 하나였다.

담배꽁초 투자의 장점은 저렴한 가격에 우량한 기업을 매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장기적인 투자 수익률이 높을 가능성이 있으며, 시장 변동성에 덜 민감하다.

하지만 단점도 존재한다. 기업의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우며, 투자 기간이 길어질 수 있고, 투자 손실의 위험이 있다.

담배꽁초 투자는 단기간에 큰 수익을 올리고 싶은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투자 수익을 올리고 싶은 투자자에게는 고려해 볼 만한 투자 방식이다.

  • 대외지급준비자산[external reserves]

    한 나라가 대외결제에 사용할 수 있는 자산으로 그 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금, SDR, IM...

  • 더블스킨 공법

    건물 외벽 위에 디자인용도의 외벽을 추가로 시공하는 방식

  • 드론[drone]

    주로 군대에서 정찰·공격용으로 사용하던 무인 비행기. 2013년 들어 상업적 가능성을 인정...

  • 대처리즘[Thatcherism]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가 영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 추진했던 사회·경제 정책을 통칭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