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업결합

 

각 기업이 경쟁을 제한하거나 배제하여 시장의 지배를 강화하고 경영을 합리화 하여 기업을 유지, 발전시키기 위해 몇개의 기업이 모여 더욱 큰 경제단위로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결합은 다른 업종간에 혹은 동일한 업종간에 이루어진다. 다른 업종간에 이루어지는 기업결합을 혼합결합이라고 부르며 음료업체와 자동차업체의 결합은 혼합결합의 예라고 볼 수 있다. 보통기업의 문어발식 확장은 혼합결합을 지칭한다.

같은 업종간에 이루어지는 결합은 업종간의 관계가 서로 대등할 때는 수평결합, 종적일 때는 수직결합으로 나뉜다. 승용차 생산회사의 화물차가 결합했다면 수직결합에 해당된다.

기업을 결합하는 수단은 주식취득, 임원겸임, 합병, 영업양수, 회사시설 등 5가지다. 기업결합은 기업규모의 확대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도 하지만 경쟁기업수를 감소시켜 독과점적 시장구조를 초래할 수도 있어 이처럼 규제를 받고 있다. 기업들의 결합사유는 재무구조개선을 위한 비중이 증가하고 있고 업종 다양화를 위한 경우는 감소추세에 있어 기업들의 경영합리화 및 경쟁력 강화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급속충전통신모듈

    외부충전설비로부터 전기차로 전력 공급시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 긴급지원자금[Supplemental Reserve Facility, SRF]

    1997년 12월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IMF)이 통상적으로 지원하는 대기성 차관(S...

  • 과징금

    행정법상의 의무를 위반한 자에게 부과하는 금전적 제재조치를 말한다. 국가가 국민에게 부과 ...

  • 기초생활보장제도

    소득이 최저생계비 이하인 절대빈곤가구가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자립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