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복리

[compound interest]

복리란 단위 기간마다 발생한 이자를 원금에 더해 다음 기간의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즉, 이자의 이자까지 계산하는 방식이다.

복리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미래가치 (FV) = 원금 * (1 + 이자율)^기간

예를 들어, 원금 100만원을 연 5%의 이자율로 5년 동안 투자한다면, 미래가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미래가치 = 100만원 * (1 + 0.05)^5 = 127.63만원

단리로 계산하면 미래가치는 121.00만원이 된다. 즉, 복리로 계산하면 단리보다 약 6.63만원 더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복리는 장기 투자에서 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72의 법칙(72 rule)”이나 카페라떼 효과 등과 함께 자주 언급된다.

관련어

  • 배제조항[exclusion clause]

    보장이 거부되는 것을 표시하는 보험의 조항. 보통 배제조항은전쟁 등은 본질적으로 위험이 너...

  • 바이셉2[BICEP2]

    중력파를 탐지하기 위해 남극 아문센-스콧 기지에 설치한 일종의 전파망원경. 일반 망...

  • 배당기산일[record date of dividend payout]

    각 주식에 대하여 배당금이 계산되는 최초의일자를 말함. 구주의 경우에는 회계연도 개시일이 ...

  • 보편적 서비스

    벽.오지나 산간지방 등을 가리지 않고 전국 어디에나 제공하는 기본적인 통신서비스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