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 산출량

[potential output]

한 나라의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을 의미한다. 이는 경제의 모든 생산 요소가 완전 고용 상태에 있을 때의 생산량으로, 경기적 실업률이 0인 상태를 가정한다.

잠재 산출량이 높을수록 경제는 더 높은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다.

잠재 산출량과 유사한 의미로 잠재 GDP를 들 수 있다. 잠재 산출량이라는 용어는 경제학에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면, 잠재 GDP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경제 보도에서 더 자주 사용된다.

또한, 잠재 산출량은 경제의 장기적인 추세를 나타내는 지표인 반면, 잠재 GDP는 특정 시점에 대한 추정치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관련어

  • 직접세, 간접세

    세금은 조세부담의 전가(轉嫁)가 이뤄지는가에 따라 직접세와 간접세로도 나눌 수 있다. 직접...

  • 전업블로거

    블로그를 직업으로 삼는 사람. 웹2.0 시대를 맞이해 블로그 사용이 쉬워지면서 블로그를 즐...

  • 지방세[local tax]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재정수입에 충당하기 위하여 지역 주민에게 징수하는 세금이다. 지방세는 과...

  • 재고자산회전율[inventories turnover]

    매출액을 재고자산으로 나눈 것으로서 재고자산의 회전속도, 즉 재고자산이 당좌자산으로 변화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