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 GDP
한 나라의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지 않고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을 의미하며, 경제의 생산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잠재GDP는 노동력, 자본, 기술 등의 생산요소가 최대한 활용될 때 달성할 수 있는 생산량으로, 경제의 구조적 특성과 경제정책 등에 영향을 받는다.
잠재GDP는 실제GDP와 비교하여 경제의 성장률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경제정책의 수립과 평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정부가 경제정책을 수립할 때는 잠재GDP를 고려하여 적절한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경제의 성장률이 잠재GDP를 초과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경제정책을 조정하여 인플레이션을 예방해야 한다.
잠재적 산출량 (potential output)이라고도 한다.
한편, 잠재 GDP에서 실제 GDP를 뺀 값을 GDP 갭이라 한다.
관련어
- 동의어잠재 산출량
-
자동원격검침[Automatic Meter Reading, AMR]
전력 가스 수도 등의 사용량을 검침원이 직접 방문해 수작업으로 체크하던 일을 컴퓨터와 통신...
-
자율경영팀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의 창출과 관련된 업무 프로세스를 책임지고 자율적으로 움직이는 작업집단...
-
재고평가 충당금재고평가 충당금[Inventory Valuation Allowance]
재고평가 충당금은 재고 가격이 떨어져서 미래에 원래 가격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커질 때, ...
-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넓은 의미의 전자상거래는 컴퓨터 통신망에서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 수·발주, 광고 등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