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잠재 GDP

 

한 나라의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지 않고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을 의미하며, 경제의 생산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잠재GDP는 노동력, 자본, 기술 등의 생산요소가 최대한 활용될 때 달성할 수 있는 생산량으로, 경제의 구조적 특성과 경제정책 등에 영향을 받는다.

잠재GDP는 실제GDP와 비교하여 경제의 성장률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경제정책의 수립과 평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정부가 경제정책을 수립할 때는 잠재GDP를 고려하여 적절한 정책을 수립해야 하며, 경제의 성장률이 잠재GDP를 초과할 경우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경제정책을 조정하여 인플레이션을 예방해야 한다.

잠재적 산출량 (potential output)이라고도 한다.
한편, 잠재 GDP에서 실제 GDP를 뺀 값을 GDP 갭이라 한다.

관련어

  • 제조직매형 의류[special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SPA]

    패션업체가 상품 기획부터 디자인, 생산, 유통,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일괄 처리하는 방식이...

  • 진앙[震央, seismic epicenter]

    지진이 실제 발생한 위치(진원)의 바로 상부에 해당하는 지표면을 말한다. 지진 발생시 피해...

  • 집게바닥형

    하락추세에 있던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캔들이 더 이상 저점을 갱신하지 못하면서 저가를 이전...

  • 지역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

    각 시·도 지역별로 얼마만큼의 부가가치를 생산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지역 주민에 의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