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출생통보제

 

부모가 아니라 산부인과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 출생 신고 의무를 부과하는 제도다.

출생 통보제의 시행은 미등록 신생아를 줄이고, 아동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생 통보제에 대한 논의는 200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으나, 의료계의 반대로 인해 시행되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미등록 신생아와 아동학대 사건의 증가로 인해 출생 통보제에 대한 논의가 재조명되었다.

출생 통보제에 대한 의견은 양쪽에서 엇갈리고 있다. 의료계는 출생 통보제가 의료기관에 과도한 행정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게다가 출생 통보제가 산모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아동단체들은 출생 통보제가 미등록 신생아를 줄이고, 아동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차월물

    선물계약에서 최근월물 이후에 만기가 도래하는 모든 월물을 통칭해서 부르는 말

  • 차별적 우위[differential advantage]

    각 경제단위 안에서 경제구조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재화생산에서의 우위. 기술적으로 선진화된...

  • 챗GPT플러그인[ChatGPT plug-in]

    챗GPT 안에 외부 서비스를 모아 기능을 높이는 일종의 추가 확장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마...

  • 최저자본금제도

    아무나 은행을 만들어 영업하는 일이 없도록 일정액 이상의 자본금을 들여 은행을 세워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