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토킹 호스

[stalking horse]

스토킹 호스(stalking horse)는 사냥 방식에서 유래한 말이다. 사냥꾼이 말 뒤에 숨어 사냥감을 추적하던 행위를 말한다.

M&A 시장에서 스토킹 호스는 매물을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먼저 보인 수의계약자(임의계약자)를 의미한다. 스토킹 호스와 먼저 사전계약을 맺은 뒤에 경쟁입찰로 좋은 조건을 제시할 다른 인수자를 찾는 M&A 방식이다. 우선협상을 체결한 기업이 향후 공개입찰에서도 우선권을 얻는다.

국내에선 2017년 서울회생법원이 미국의 도산법의 스토킹 호스제도를 도입해 적용한 것이 최초의 사례이다.

정치에서는 위장출마자를 뜻하기도 한다.

  • 산업합리화

    특정 산업을 정책적으로 보호 육성할 필요가 있을 때 해당 업종을 금융, 세제상지원하고 과당...

  • 시커모아[Sycamore]

    구글의 AI 퀀텀 팀에서 개발한 53개의 큐비트를 십(+)자 모양으로 연결해 구현한 양자컴...

  • 석유정치[Petropolitics]

    석유(petroleum)와 정치(politics)의 합성어. 석유와 천연가스를 차지하기 위...

  • 사전협상제도

    1만㎡ 이상 대규모 부지를 매입한 민간 사업자가 개발계획을 세울 때 미리 서울시와 협의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