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
[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 AMPC]미국이 2022년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자국 내 첨단산업 생산을 늘리려고 도입한 세제 혜택이다. 배터리, 태양광, 풍력 부품 및 핵심 광물을 미국에서 생산해 판매하는 기업에 일정액을 세금에서 깎아준다.
2022년 12월 31일 이후 미국 현지에서 생산돼 팔린 제품이 대상이며,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적용된다. 일부 광물은 2034년까지 단계적으로 줄여가며 지원한다. 2025년 들어 일부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조기 종료 논의가 있었지만 AMPC는 현행 기준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배터리 셀은 킬로와트시(kWh)당 35달러, 모듈은 kWh당 10달러를 깎아준다. 셀과 모듈을 모두 생산해 파는 기업은 kWh당 최대 45달러까지 받는다. 태양광 모듈은 와트(W)당 7센트, 셀은 W당 4센트, 웨이퍼는 제곱미터당 12달러, 폴리실리콘은 킬로그램당 3달러다. 양극재·음극재 같은 배터리 핵심 소재와 광물은 생산원가의 10%를 공제해준다.
단순히 부품을 조립하는 수준으론 안 되고, 실질적인 가공 과정을 거쳐야 '생산'으로 인정받는다. 생산만 해서도 안 되고 반드시 미국 내에서 팔아야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재활용 소재로 만든 제품도 2024년 최종 규정에서 혜택 대상에 포함시켰다.
중국 등 해외 우려 기관(FEOC)이 관여한 부품이나 광물을 쓰면 혜택에서 제외된다. 2024~2025년 들어 이런 제한이 더욱 강화되고 있어 한국 기업들도 공급망 재편에 신경 써야 한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한국 배터리 3사가 미국 현지 공장에서 상당한 혜택을 보고 있으며, 미국의 자국 중심 제조업 부활 정책의 핵심 수단으로 평가받는다.
관련어
- 참조어국내생산촉진세제
-
칩[chip]
트랜지스터와 같은 반도체가 수십, 수천 개로 이루어진 약 0.5㎝ 크기의 얇은 조각. 컴퓨...
-
초임계압 발전[supercritical pressure generation]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과 온도를 임계압(증기압력 225.65㎏/㎠·증기온도 섭씨 ...
-
출구전략[exit strategy]
경제회복을 위해 공급됐던 과잉 유동성이나 각종 완화정책을 경제에 큰 부작용 없이 서서히 거...
-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
핵을 제거한 난자에 체세포를 이식해 얻은 수정란을 배반포 단계까지 키워 추출한 배아줄기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