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상자산 지갑

[virtual asset wallet]

블록체인 관련 자산을 넣을 수 있는 지갑.

가상자산은 가상화폐, 포인트, 게임 아이템 등 온라인 환경에서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보와 데이터를 말한다.

가상자산 지갑은 블록체인 관련 자산을 컴퓨터나 모바일 등 하드웨어 기기에 보관하는 소프트웨어다. 비트코인 등을 외부에 따로 저장할 수 있는 하드웨어 지갑도 있지만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는 온라인으로 접속하는 방식이다.

온라인 상태의 지갑을 ‘핫월렛’, 오프라인 상태의 지갑은 ‘콜드월렛’으로 부르기도 한다.


핫월렛은 크게 수탁 지갑과 비수탁 지갑으로 나뉜다. 수탁 지갑은 보통 암호화폐거래소가 관리하는 방식이다. 자산 거래 시 수탁자인 암호화폐거래소에 관련 요청을 해야 한다. 비수탁 지갑은 이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방식이다. 이용자가 가상자산의 통제권을 가지며 관련 책임도 져야 한다. 비수탁 지갑을 ‘셀프 커스터디(self custody)’라고도 부른다.

  • 기본소득제[basic income guarantee]

    소득과 자산 수준, 직업 유무에 관계없이 전 국민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

  • 국공채[public bonds]

    국가나 지방공공단체가 부족한 자금의 충당을 위하여 차입하는 경우에 발행되는 채권. 일반기업...

  • 공동입찰

    법원경매에 부쳐지는 하나의 부동산에 관해 다수의 입찰자들이 공동으로 자금을 출자하여 낙찰받...

  • 구제금융[bailout]

    국가난 기업 등이 도산해 세계경제나 국민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될 경우, 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