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영구적 위기

[perma-crisis]

‘permanent’(영구적인)와 ‘crisis’(위기)의 합성어로 2022년 영국의 대표 사전 중 하나인 콜린스(Collins)가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불안정과 불안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다는 뜻이다.

콜린스는 이 단어가 1970년대에 학문적 맥락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2022년 하반기 들어 사용이 급증했다.


팬데믹과 전쟁, 인플레이션, 미국 중국 러시아의 패권 경쟁으로 인한 정치 불안이 복잡하게 맞물려 위기를 촉발하는 변수들은 상수로 자리잡았다. 예측 불가능성은 ‘뉴노멀’이 됐다.

2023년에는 중국의 부상이 정점에 달하는 ‘피크 차이나(peak China)’가 또 다른 지정학적 위기의 변수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22년 12월 5일 발간한 <2023년 세계대전망>에서 “퍼머크라이시스는 2023년 세계 정세를 정확하게 요약한 합성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중국은 새로운 위험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은 수백 년 동안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였다. 하지만 유엔에 따르면 2023년 4월 세계 최대 인구 대국 자리를 인도에 내줄 전망이다. 제로 코로나 정책 후폭풍, 부동산 위기 등으로 중국의 인구와 경제 모두 정점을 찍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경제분석기관 캐피털이코노믹스는 “2030년 이전에 미국 경제를 추월할 것으로 여겨졌던 중국 경제가 미국을 영영 뛰어넘지 못할지도 모른다”고 예측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약해진 중국은 더 위험할 수 있다”며 “세계를 재편하거나 대만을 장악하려 하는 중국이 행동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예정이율[estimated interest rate]

    보험사가 금융소비자에게 보험금·환급금을 지급할 때 적용하는 이율로 보험료 산정의 기준이 된...

  • 왓슨

    IBM이 개발한 인공지능 플랫폼. IBM의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였던 토머스 왓슨(Thoma...

  • 요람에서 무덤까지[from the cradle to the grave]

    영국의 경제학자 윌리엄 베버리지가 1942년 주창한 법안의 내용으로 현대 영국 사회보장제도...

  • 압타머

    DNA, RNA 형태로 특정 단백질과 결합해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고분자물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