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임의 비급여

 

보험수가가 정해지지 않은 진료항목으로 병원이 임의로 가격을 매길 수 있다. 보험수가로 정해지지 않은 것에 대하여 병원이 임의로 비급여하여 가격을 매길수 있는 진료항목을 말한다. 따라서 같은 진료행위나 치료재료라 하더라도 병원별로 가격을 다르게 책정할 수 있다. 총진료비 중 일부를 본인이 부담하고 나머지는 건강보험공단이 부담하는 것과 달리 임의 비급여는 본인이 전액 부담한다. 그러나 임의비급여는 환자에게 불법적으로 비용을 부담케 한 행위로 간주되기 때문에 이므로 요양기관은 환자에 대한 비용을 환급해야 한다.

  • 양자중첩성[quantum superposition]

    서로 멀리 떨어진 두 입자가 존재적으로 연결돼 있어 한 입자의 상태가 확정되는 즉시 다른 ...

  • 일반의약품[Over-the-counter drugg, non-prescription medicine, OTC drugs]

    안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국이 아닌 일반 소매점에서도 팔 수 있도록 ...

  • 오차범위[error range]

    오차가 발생하는 값의 범위.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3.5%p라는 말은 지지율이 40%인 ...

  • 외환집중제[foreign exchange concentration system]

    민간이 외국돈(외환)을 보유하는 것에 국가가 일정한 제한을 가하는 제도를 말한다. 외환집중...